1300년대
1392년 7월 20일
고려의 왕씨들을 강화에 가둠.
1393년 5월 4일
박영충(朴永忠)을 강화절제사(江華節制使)로, 이승원(李承源)을 교동절제사로 임명함.
1393년 5월 14일
왜적이 교동에 침입함.
1394년 4월 14일
왕씨 일족을 제거하기 위해 형조전서 윤방경(尹邦慶)과 대장군 오몽을(吳蒙乙)을 강화에 보냄.
1394년 4월 15일
윤방경이 왕씨들을 강화 나루에 던짐.
1394년 6월 23일
강화·진강·하음·교동 등을 경기우도에 소속시킴.
1395년
교동에 만호를 두고 지현사(知縣事)를 겸하게 함.
1398년 5월 10일
대장경 목판을 선원사에서 용산강으로 옮김.
1400년대
1407년 5월 26일
강화부 하음에서 산이 붕괴됨.
1407년 12월 2일
화엄종인 강화의 전향사(栴香寺)를 자복사(資福寺)로 정함.
1409년 1월 29일
강화·교동의 전지를 군자전(軍資田)으로 함.
1409년 2월 22일
경기좌우도수군절제사(京畿左右道水軍節制使)가 강화부사를, 경기우도도만호(京畿右道都萬戶)가 교동현령(喬桐縣令)을 겸하게 함.
1409년 5월 8일
마니산·길상산·진강산이 무너짐.
1412년 5월 7일
우박이 내림.
1413년 8월 23일
종자마 100여 필을 길상산에 방목함.
1413년
강화도호부로 승격.
1414년 9월 16일
강화에 제언을 선군(船軍)에게 경작케 함.
1415년 1월 21일
강화에 새 목장이 완성되었는데 둘레는 6만 7148척임.
1416년 3월 11일
강화의 가릉포(嘉陵浦)에 국농소(國農所)를 설치함.
1417년 6월 4일
진강산·길상산·북일곶이·신도(信島)·매도(煤島) 등 5개 목장의 마필을 강화부사가 관리함.
1417년 8월 29일
교동·강화의 수군이 받은 전지 800여 결을 풍저창(豊儲倉)·광흥창(廣興倉)에 소속시킴.
1418년 3월 13일
교동의 수영(水營)에서 황룡(黃龍)이 나타났다고 보고함.
1421년 7월 25일
삼목도(三木島)·자연도 수군을 교동에 소속시킴.
1423년 5월 21일
강화 진강산·북일곶·길상산·매도·주질문도·신도 등 목장의 말이 288필 증가함.
1423년 7월 26일
경기우도수군부만호를 교동수군부만호(喬桐水軍副萬戶)로 고침.
1425년 4월 26일
강화부의 옛 성터에 성을 쌓고 치소(治所)를 옮김.
1425년 11월 8일
한성부윤 김소대(金素大) 등이 강화부의 목장이 남쪽으로 진강(鎭江)부터 대청포(大靑浦)까지, 서쪽으로는 건동을포(巾冬乙浦)까지라고 함.
1426년 2월 23일
마니산 참성대가 무너짐.
1427년 6월 2일
진강·길상 두 목장을 합침.
1429년 10월 21일
강화성터를 배지평(背只平)으로 정하고 군사 9000명을 동원하여 5년을 기한으로 완성하도록 함.
1432년 3월 10일
판부사 최윤덕(崔潤德)·예조판서 신상(申商)이 강화성터와 목장터를 살핌.
1432년 10월 26일
강화도호부사(江華都護府使)가 감목관(監牧官)을 겸임함.
1433년 2월 15일
경기 강화부사가 감목관을 겸임함.
1434년 8월 3일
강화에서 왜닥[倭楮]를 재배함.
1437년 11월 11일
북방야인의 괴수 거아첩합(巨兒帖哈)을 강화에 유배보냄.
1448년 4월 5일
전라도 조운선 6척이 교동 응암(鷹岩)에서 침몰함.
1448년 8월 27일
강화·교동 등지의 조선(造船)용 소나무 벌목을 금지함.
1450년 5월 2일
양녕대군 3남 서산윤(瑞山尹) 이혜(李?)를 강화부에 유배.
1450년 11월 1일
김숙리(金叔利)를 강화도호부사(江華都護府使)로 임명.
1453년 10월 10일
안평대군 이용(李瑢)과 아들 이우직(李友直)을 강화에 유배함.
1453년 10월 16일
이용과 이유직을 교동으로 옮김.
1456년 2월 10일
진강·중장·길상의 세 목장을 합침.
1457년 10월 20일
김포·양천·통진·교동을 강화진(江華鎭)에 편입함.
1458년 2월 26일
강화에 주진(主鎭)을 설치함.
1459년 7월 11일
강화진에서 진인(鎭印)을 사용하도록 함.
1465년 11월 3일
한명회가 강화·교동 성터를 둘러봄.
1466년 7월 12일
병조에서 강화 등지의 군기(軍器)를 상정함.
1472년 5월 24일
강화에 영속된 난신 황의헌(黃義軒)의 얼제(孼弟) 황녹송(黃綠松)을 종원안치(從願安置)함.
1473년 9월 26일
강화도호부사 신윤종(申允宗)은 준직(准職), 교동현감 김수(金洙)는 우등의 성적으로 체임됨.
1475년 3월 12일
교동정로간(喬桐庭爐干)에 정역(定役)된 정숭도(丁崇道)를 방면함.
1475년 7월 1일
이시보(李時珤)를 통정대부 행강화도호부사로 임명함.
1477년 윤2월 18일
관상감(觀象監)에서 마니산이 태일(太一)을 옮길 만한 곳이라고 추천함.
1480년 1월 24일
한명회(韓明澮)가 강화 등지의 포(浦)의 방어설비를 점검함.
1482년 2월 17일
경기진휼사(京畿賑恤使) 강희맹(姜希孟)이 교동·강화 등지의 기근을 보고함.
1482년 8월 24일
교동·강화 등지에 경창(京倉)의 쌀을 나눠줌.
1485년 10월 6일
한명회가 강화 해구에 성 쌓기를 건의함.
1486년 12월 27일
조지주(趙之周)를 강화부사로 삼음.
1487년 1월 26일
경기관찰사 성건(成健)이 강화 보음도(甫音島)의 지형을 그림.
1487년 3월 4일
볼음도에서 백성들이 경작을 함.
1487년 9월 15일
대사헌(大司憲) 성건이 강화에 둔전 경영을 건의함.
1499년 6월 6일
강화부에서 거북 비슷한 수족(水族)을 진상함.
1500년대
1500년 9월 25일
강화부사 한위(韓偉)를 경직(京職)에 임명함.
1505년 2월 17일
내관 서수진(徐守眞)을 강화로 옮김.
1506년 2월 4일
강화부사에 장준손(張俊孫)을 임명.
1506년 2월 11일
내관 박서(朴恕)를 강화로 유배보내 종으로 삼음.
1506년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어 교동현으로 유배함.
1506년 11월 6일
연산군이 역질로 사망함.
1518년 3월 18일
교동사람으로 절개를 지킨 말응금(末應今)을 표창함.
1523년 4월 24일
교동에 우박이 내림.
1524년 5월 22일
강화에 삼잎과 밀보리를 먹는 벌레가 있어 피해가 큼.
1525년 5월 5일
강화부에 지진이 발생함.
1538년 5월 20일
강화 등지에 충해(蟲害)가 발생함.
1542년 윤5월 1일
강화부에 지진(地震)이 발생함.
1543년 5월 1일
강화부에 부리가 검은 흰 벌레가 벼싹을 갉아먹음.
1544년 2월 18일
강화에 전염병이 성하여 80명이 사망함.
1544년 3월 20일
강화의 전염병 치료를 위해 의원과 약을 보냄.
1545년 11월 1일
교동 등 고을의 상평창 곡식을 못 받은 자들에게 혜택을 줌.
1546년 3월 29일
강화에 우박이 쏟아짐.
1546년 5월 23일
강화에 지진이 발생함.
1551년 11월 1일
강화주민에게 길상목장에서 농사짓게 함.
1555년 12월 8일
지진이 발생함.
1556년 4월 4일
교동에 지진이 발생함.
1557년 2월 24일
교동에 전염병이 돌아 의원을 보냄.
1564년 8월 5일
강화에 천둥과 번개가 치고 우박이 내림.
1565년 4월 19일
강화에 지진이 발생하여 기와가 흔들림.
1586년 8월 24일
신각(申恪)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87년 2월 21일
강화의 민건(閔健)이 감목관에 차출됨.
1588년 1월 8일
구황곡(救荒穀) 5만석이 강화에 수송됨.
1590년 12월 27일
양사준(梁思俊)을 강화부사에 제수함.
1592년 5월 29일
비변사에서 강화·교동의 군을 모집함.
1592년 7월 1일
임진왜란으로 김천일(金千鎰)이 강화에 들어와 방어함.
1592년 9월 1일
우성전(禹性傳)의 의병이 강화에 가서 김천일의 군사와 연합함.
1592년 10월 13일
강화에는 피난민이 많이 있기 때문에 우의정을 보내어 다스림.
1592년 10월 22일
전라도 관찰사 권율(權慄)이 군을 거느리고 강화로 옴.
1592년 11월 1일
문소전(文昭殿)의 위판(位版)을 강화에 봉안함.
1592년 11월 3일
김천일 등 의병들이 강화에서 경성으로 나옴.
1593년 1월 11일
강화에 비치한 쌀을 실정에 맞게 경기도에 나누어 줌.
1593년 1월 11일
전라도 절도사 최원(崔遠)의 군사 4,000명이 강화부에 주둔함.
1593년 2월 17일
창의사(倡義使) 김천일이 다시 강화로 들어옴.
1593년 3월 16일
세종대왕의 영정을 강화의 묘사(廟社)에 봉안함.
1593년 4월 16일
강화의 유민을 진휼함.
1593년 5월 5일
강화에 머물던 훈련도정(諫鍊都正) 최원(崔遠)을 파직함.
1593년 5월 11일
황민성(黃玟誠)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3년 9월 9일
비변사에서 강화에 있는 세미(稅米)를 나누어 백성을 구제함.
1593년 10월 9일
강화에 피난해 있는 선왕의 후궁들에게 음식 등을 지급함.
1593년 12월 1일
전 인성부원군(寅城府院君) 정철(鄭澈)이 강화에서 사망함.
1594년 7월 5일
병조에서 강화 등지의 말을 차출함.
1595년 8월 27일
강화 진강장 목장의 경작을 불허함.
1595년 11월 3일
판중추부사 윤두수(尹斗壽) 등이 강화에 실록을 옮길 곳을 수리함.
1596년 2월 26일
전등사에 문소전(文昭殿)의 위판 및 영정을 옮겨 봉안함.
1596년 5월 29일
강화에 숨어 있던 황해병사 최원(崔遠)을 파직함.
1596년 11월 3일
이조에서 겸춘추(兼春秋) 1원(員)을 차출하여 강화사고(江華史庫)를 담당케 함.
1596년 11월 6일
비변사에서 파직된 강화부사 심우정(沈友正)의 유임을 청함.
1596년 11월 16일
서성(徐픸)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6년 11월 20일
우복룡(禹伏龍)을 강화도호부사로 임명함.
1597년 1월 29일
유성룡이 강화를 순찰함.
1597년 6월 22일
옹주(翁主) 등이 강화로 피난감.
1597년 7월 29일
윤두수가 강화부 방수(防守) 계책을 세움.
1597년 8월 15일
장운익이 명의 수군을 강화에 주둔시킬 것을 건의함.
1597년 9월 29일
명군의 군량을 강화에서 아산(牙山) 등지로 옮김.
1598년 2월 21일
강화에서 머리가 둘, 발이 일곱인 송아지가 태어나자마자 죽음.
1598년 2월 30일
관상감(觀象監)이 강화에서 태어난 송아지를 점을 쳐보았는데 괴이한 괘가 나왔다고 함.
1598년 5월 22일
강화부에서 만든 목마(木馬)를 올림.
1599년 5월 25일
권희(權憘)를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9년 6월 7일
호조낭청을 강화에 파견하여 식량운송을 감독케 함.
1599년 7월 21일
홍치상(洪致祥)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9년 10월 29일
심극명(沈克明)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9년 11월 4일
홍가신(洪可臣)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599년 11월 17일
이수준(李壽俊)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00년대
1600년 1월 10일
문소전의 위판이 강화를 떠나면서 사유제(事由祭)를 지냄.
1601년 8월 23일
송순(宋諄)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01년 8월 28일
조존성(趙存性)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03년 12월 15일
전 만호 허수(許첥)가 강화의 편오군(編伍軍)을 재편성함.
1604년 6월 22일
심열(沈悅)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04년 12월 25일
겸춘추(兼春秋) 관원을 선발하여 강화사고를 수직케 함.
1605년 1월 4일
이각(李恪)을 교동현감으로 임명함.
1605년 9월 25일
윤의립(尹義立)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06년 4월 23일
신경창(申慶昌)을 교동현감으로 임명함.
1608년 2월 15일
임해군(臨海君)을 진도에서 교동도로 유배함.
1609년 5월 3일
임해군 이진(李콫)이 사망함.
1609년 5월 4일
임해군을 살해한 교동별장 이정표(李廷彪)의 죄를 다스림.
1612년 10월 29일
강화부사 권반(權盼)을 충청도로 보냄.
1612년 12월 8일
강화 등지에 어사를 파견하여 무재(武才)를 살핌.
1613년 7월 26일
영창군(永昌君) 이의(李義)를 강도에 유배함.
1614년 1월 10일
강화부사 기협(奇協)을 추국함.
1614년 1월 13일
정항(鄭沆)을 강화부사로 임명함.
1614년 2월 10일
강화부사 정항(鄭沆)이 영창군을 살해함.
1614년 6월 6일
광해군이 강화부사 정항을 잡아들임.
1614년 7월 3일
이정표를 강화부사로 임명함.
1614년 7월 11일
비변사에서 강화도에 목책(木柵)을 설치함.
1614년 9월 12일
금군(禁軍)과 잡류(雜類)의 녹봉으로 강화미(江華米)를 사용함.
1615년 11월 10일
능창군(綾昌君) 이전(李佺)을 교동에 유배함.
1615년 11월 24일
교동별감에게 능창군의 상(喪)을 치르게 함.
1617년 2월 1일
도적이 강화사고에 불을 지름.
1618년 6월 14일
강화검찰사(江華檢察使)가 경기·황연(黃延)·공홍(公洪)·전라·안동을 관할하는 5도 검찰사가 됨.
1618년 7월 1일
심돈(沈惇)이 진강장(鎭江場)의 형세를 그려 보고함.
1618년 9월 27일
사간원에서 강화부사 이안눌(李安訥)의 파직을 건의함.
1619년 4월 14일
영건도감에서 강화 훈련도감의 쌀 5000여 석을 사용함.
1620년 6월 14일
대궐에 쓰일 돌을 강화에서 부석소로 보냄.
1620년 7월 11일
조운선(漕運船) 10여 척이 강화에서 침몰함.
1620년 12월 22일
사간원에서 전 강화부사 기협(奇秊)이 역적 영창군을 비호한 것 때문에 국문함.
1620년 12월 27일
윤훤(尹暄)을 강화부윤(江華府尹)으로 임명함.
1622년 7월 26일
사간원에서 교동현감 유시공(柳時恭)의 파직을 요청함.
1623년 3월 13일
광해군을 폐위시켜 강화에 유배함.
1623년 3월 23일
광해군과 폐세자 이지를 강화로 옮기고 중사(中使) 및 별장(別將)을 배치함.
1623년 5월 22일
폐세자 이지가 도망가다 붙잡힘.
1623년 6월 25일
이지에게 죽음을 내림.
1623년 10월 8일
문성군부인(文城郡夫人) 유씨(柳氏)가 강화 유배 중에 사망함.
1623년 10월 20일
강화부윤 이중로(李重老)를 파직하고 이성구(李聖求)을 임명함.
1624년 2월 8일
예조판서 이정구(李廷龜)가 종묘사직의 신주를 받들고 강화로 떠남.
1624년 2월 14일
광해군을 남해에서 강화로 옮김.
1624년 7월 8일
강화에 삼남(三南)의 병기를 보관함.
1624년 12월 23일
강화부윤 이성구가 위중한 광해군에게 의원과 약을 보냄.
1624년 12월 24일
강화의 유배처에 잡물(雜物)을 보냄.
1625년 2월 6일
김기종(金起宗)을 강화부윤으로 임명함.
1625년 2월 14일
인조가 자정전(資政殿)에서 강화부사 김기종을 인견함.
1625년 7월 20일
광해군의 병이 위중함.
1625년 9월 10일
강화에 목화와 목화씨를 보냄.
1625년 9월 29일
춘추관(春秋館) 당상(堂上)이 실록을 상고할 일로 강화에 감.
1626년 1월 5일
정효성(鄭孝成)을 강화부윤으로 임명함.
1626년 4월 21일
강화의 연군(烟軍)을 동원하여 부역케 함.
1627년 1월 20일
광해군을 교동으로 옮김.
1627년 2월 17일
강화에서 과거를 실시하여 유생들을 위로함.
1627년 4월 1일
명나라가 강화로 종묘사직의 신위를 옮긴 것에 이의를 제기함.
1627년 4월 15일
강화의 쌀 3000석을 해주 결성창(結城倉)으로 보냄.
1627년 5월 11일
심열(沈悅)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28년 1월 11일
강화의 유배처를 제대로 수직하지 못한 내관과 별장을 국문함.
1628년 1월 22일
강화 내관 박개신(朴介臣), 문극명(文克明)을 변방으로 유배함.
1628년 1월 25일
심기원(沈器遠)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28년 2월 14일
신감(申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28년 6월 5일
백성들의 신망이 깊은 이안눌을 강화부윤으로 임명함.
1628년 9월 15일
교동현감 이지천(李志賤)을 인견함.
1629년 2월 13일
교동현을 부(府)로 승격함.
1629년 6월 16일
교동에 큰 바람이 불고 해일이 일어남.
1629년 10월 29일
교동에 있던 능창군 이전의 묘소를 경기 광주(廣州)로 이장함.
1630년 4월 9일
임금이 강화유수 이안눌의 유임의 청을 거절함.
1630년 5월1일
부원수 정충신(鄭忠信)이 교동에 출진함.
1630년 5월 7일
공청수사 송영망(宋英望)이 수군을 이끌고 강화로 감.
1630년 5월 8일
좌부승지 이경용(李景容)이 교동수군을 검열함.
1631년 8월 3일
강화에 수만 석 곡식을 축적할 지역을 선정함.
1631년 9월 23일
강화·교동에 우박이 내림.
1631년 10월 21일
강도의 인구는 1만 3000여 명, 호수는 6000호 임.
1632년 1월 9일
교동에 지진이 발생함.
1632년 4월 21일
강도의 무기고가 소실된 이유로 유수는 추고, 경력을 파직함.
1633년 2월 12일
김자점이 강도를 관리하는 책임을 겸함.
1633년 2월 13일
신준(申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33년 9월 15일
강화부에 지진이 발생함.
1633년 12월 26일
강화 위리별장(圍籬別將) 성대훈(成大勳) 등을 국문함.
1634년 1월 12일
봄에 광해군을 강도에서 교동으로 옮기라고 명함.
1634년 4월 12일
강화 유배처에 저포(苧布) 등의 물품을 보냄.
1635년 12월 8일
교동유학 황홍(黃泓)이 상언하여 벼슬을 받음.
1636년 3월 9일
장신(張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37년 1월 22일
청군이 강도를 침범함.
1637년 2월 9일
강화유수 윤이지(尹履之)의 건의로 경력을 임시로 줄임.
1637년 2월 17일
강화유수를 부사로 강등시킴.
1637년 4월 13일
광해군을 교동으로 옮김.
1638년 1월 4일
인조가 호조판서 등과 강화·교동의 방비태세 등을 논의함.
1638년 9월 19일
강화 등 7개 고을에 우뢰와 번개가 치고 우박이 내림.
1639년 10월 29일
마니산 제단을 수축함.
1639년 12월 30일
마니산에 사당(祠堂)을 세우고 제사를 지냄.
1640년 1월 27일
김자점(金自點)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40년 1월 21일
강화의 쌀로 여주 등지를 진휼함.
1640년 2월 2일
이경직(李景稷)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44년 8월 6일
강화에 소장되어 있는 실록 중 산실된 부분을 다시 씀.
1646년 4월 2일
강화의 미곡 500석을 이시백(李時白)의 군대로 운송함./p>
1648년 6월 1일
1650년 2월 6일
소현(昭顯)의 셋째아들을 강화로 옮김.
1650년 4월 26일
강화에 저장해 둔 종자를 경기도민에게 나누어주어 파종하게 함.
1650년 7월 4일
소현의 셋째아들을 교동으로 옮기고, 내의원을 보냄.
1650년 7월 21일
경기수사가 교동을 겸하여 관장함.
1651년 1월 22일
신준(申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1년 2월 27일
이시매(李時?)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1년 4월 8일
황선신(黃善身)을 포록(褒錄)의 반열에 올림.
1651년 6월 4일
이만(李曼)을 강화부유수로 임명함.
1652년 1월 3일
이징(李澄)과 이숙(李潚)을 강화로 유배함.
1652년 9월 17일
이징·이숙을 소현의 셋째아들과 함께 교동을 옮김.
1653년 3월 3일
병에 걸린 소현세자의 셋째아들에게 내의원을 보냄.
1653년 3월 7일
선혜청의 춘부미(春賦米) 1000석을 강화에 지급함.
1653년 11월 6일
강화의 사각(史閣)의 화재로 실록과 의궤(儀軌) 등이 소실됨.
1654년 2월 12일
정세규(鄭世規)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4년 2월 24일
소현세자의 셋째아들에게 내의를 보냄.
1655년 1월 17일
강화유수 정세규가 강도연변의 보(堡) 설치를 건의함.
1655년 1월 27일
영의정 이시백이 강화연변에 진(鎭) 설치문제를 건의함.
1655년 5월 2일
홍중보(洪重普)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5년 5월 20일
상평청(常平廳)의 쌀 2883석과 콩 618석을 강화로 보냄.
1657년 3월 15일
김여옥(金汝鈺)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7년 7월 18일
민응협(閔應協)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8년 4월 20일
서원리(徐元履)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58년 9월 1일
송시열이 강화창의 곡식을 풀어 백성을 구휼할 것을 건의함.
1658년 11월 16일
강화유수 민응협(閔應秊)을 연안에 유배함.
1658년 12월 13일
강화유수 서원리가 사직상소를 올림.
1660년 2월 8일
유심(柳햘)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0년 5월 13일
강화유수 유심의 주청대로 세량 300여 석을 면제함.
1660년 10월 19일
토지 없는 가난한 강화백성들을 진휼함.
1660년 11월 13일
강화유수 유심을 강등시켜 유임시킴.
1662년 2월 8일
유철(兪?)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2년 10월 23일
강화유수 유철이 중군을 다시 둘 것을 건의함.
1663년 3월 6일
강화 목장을 개축함.
1663년 3월 9일
권우(權췖)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3년12월 7일
조복양(趙復陽)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4년 3월 3일
강화유수 조복양이 강화군의 실정 및 무기 현황을 보고함.
1664년 5월 10일
전염병이 번져 죽는 사람이 많음.
1664년 5월 26일
강화유수 조복양을 이조참판에 제수함.
1664년 6월 1일
조복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4년 7월 23일
총융사의 군병을 강도에서 조련함.
1665년 6월 11일
이경휘(李慶徽)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5년 6월 17일
서필원(徐必遠)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5년 7월 5일
강화부에 전염병이 극심하여 사망한 자가 많음.
1665년 7월 11일
강화부에 심한 바람이 불어 벼와 곡식이 피해가 심함.
1666년 1월 3일
강화유수 서필원 등이 수군과 육군 및 진을 옮기는 일을 논의함.
1667년 7월 2일
강도의 곡식 500석을 나누어 줌.
1668년2월 11일
90세가 넘은 강화백성에게 음식물을 하사함.
1668년 5월 22일
강화유수 서필원이 사직함.
1668년 6월 6일
김휘(金徽)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69년 8월 2일
강화부에 해일이 일어남.
1670년 1월 7일
강화도사 이만휘(李萬輝)를 교체함.
1670년 2월 21일
교동에서 지진이 발생함.
1670년 6월 20일
이완(李浣)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0년 7월 29일
강화에서 배가 전복되어 죽은 어부들을 구휼함.
1670년 8월 23일
김수흥(金壽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1년 2월 1일
강화부에 해일이 일어나 둑이 무너짐.
1671년 2월 18일
강화부에서 전염병으로 죽은 자가 50명임.
1671년 6월 17일
민희(閔熙)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1년 7월 20일
대풍이 불어 곡식이 상함.
1673년 1월 21일
민시중(閔蓍重)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3년 2월 5일
최근 흉년이 든 강화부 등지의 백성을 구휼함.
1674년 4월 5일
강화에서의 돌 채취를 금지함.
1674년 10월 20일
강화유수 오시수(吳始壽)를 도승지로 임명함.
1674년 10월 21일
정영(鄭楹)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5년 5월 25일
유혁연이 강화의 성곽(城郭) 지도를 그림.
1676년 1월 12일
강화에서 병차(兵車)를 만듦.
1677년 9월 15일
이관징(李觀徵)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7년 10월 2일
강화의 제방미(除防米)를 지급하여 구휼함.
1678년 4월 9일
교동에서 머리가 둘 다리가 다섯인 송아지가 태어남.
1678년 4월 16일
윤이제(尹以濟)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78년 10월 17일
강화유수가 진무사를 겸함.
1679년 2월 13일
강화 군량미로 서울의 기근을 구제함.
1679년 3월 6일
강화의 돈대를 축조하는 역군(役軍)들에게 쌀 등을 지급함.
1679년 3월 28일
강화의 돈대 구축에 승군(僧軍)을 동원함.
1679년 6월 16일
병조판서 김석주(金錫胄)가 강화의 돈대를 그린 족자를 올림.
1679년 7월 25일
강화부의 인화보(寅火堡)에 만호를 설치함.
1680년 3월 3일
정유악(鄭維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0년 4월 13일
이숙(李?)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0년 12월 6일
이선(李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0년 12월 26일
교동 백성들에게 조세의 1/3을 감하여 줌.
1681년 1월 3일
강화유수 이선에게 ≪국조보감(國朝寶鑑)≫ 편찬을 위임함.
1681년 5월 4일
강화에서 지진이 발생함.
1682년 1월 12일
조사석(趙師錫)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2년 2월 29일
지사 김석주가 덕포(德浦)를 주진(主鎭)으로 할 것을 청함.
1682년 4월 13일
강화유수 조사석이 광성(廣城) 등지에 돈대(墩臺)축조를 건의함.
1682년 7월 16일
강화·교동 등지에 대풍이 불어 재해가 발생함.
1682년 9월 15일
강화에서 사절(死節)한 송시영과 이시직을 2품에 증직 포장함.
1683년 6월 26일
이민서(李敏敍)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4년 2월 27일
강화의 성안에서 큰불이 일어남.
1684년 3월 13일
강화유수 이민서가 백마(白馬)·문수(文殊)·진강(鎭江) 세 곳에 성을 쌓을 것을 건의함.
1684년 6월 23일
윤계(尹?)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4년7월 29일
대사헌(大司憲) 이민서가 강도의 지도를 그려 올림.
1685년 5월 6일
지평 최규서(崔奎瑞)가 강화유수 윤계를 탄핵함.
1685년 5월 18일
이익(李翊)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5년 10월 6일
어사 유명일(兪命一)이 강화부에서 시재(試才)함.
1686년 6월 16일
신정(申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6년 9월 6일
강화유수 신정이 장총과 배의 필요성을 건의함.
1686년 11월 3일
강화의 사고에 연산조일기와 광해조일기를 보관함.
1687년 4월 23일
강화부의 석물(石物)을 가져가는 일을 금지함.
1687년 12월 23일
윤지완(尹趾完)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8년 7월 11일
신익상(申翼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9년 2월 7일
강화부에 전염병이 발생함.
1689년 윤3월 5일
권해(權?)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9년 윤3월 10일
정박(鄭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89년 4월 26일
강화부에 소장되어 있는 열성(列聖)들의 실록을 조사함.
1689년 11월 5일
관상감(觀象監)이 강화에 가서 혜성(彗星)을 살펴봄.
1690년 3월 7일
신후재(申厚載)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1년 8월 8일
강도에 중관(中官)을 보내 성을 쌓는 장사(將士)를 위로함.
1692년 2월 11일
오시대(吳始大)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3년 1월 24일
가을에 성을 쌓도록 함.
1693년 12월 14일
홍만조(洪萬朝)를 승진시켜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4년 5월 19일
민진주(閔鎭周)를 강화유수로 승진시킴.
1694년 10월 3일
강화부에 천둥·지진이 발생함.
1695년 3월 26일
진강의 목장마를 금군(禁軍)에게 나누어 줌.
1695년 6월 23일
김구(金構)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6년 1월 18일
김진구(金鎭龜)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6년 4월 27일
강화유수 김진구를 자헌대부(資憲大夫)로 높임.
1696년 5월 5일
최규서(崔奎瑞)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6년 11월 13일
이이명(李?命)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7년 1월 1일
강화유수 이이명이 조정에 요청하여, 절개를 지키다 죽은 사람의 자손과 효자 등에게 쌀을 줌.
1697년 1월 19일
승지 김세익(金世翊)을 보내 강화에서 순절한 신하들을 제사지냄.
1698년 1월 15일
교동에 토포사(討捕使)를 별도로 설치함.
1698년 4월 5일
강화의 쌀 2000석을 한강 이남의 여러 고을에 지급함.
1698년 11월 4일
김창집(金昌集)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699년 5월 2일
강화부에 태풍이 불고 해일이 일어남.
1700년대
1700년 4월 18일
민진후(閔鎭厚)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0년 7월 26일
김석연(金錫衍)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1년 9월 9일
강화유수 김석연이 강화지형도를 그려 올림.
1702년 2월 4일
관상감의 관원이 강화에 와서 서방에 나타난 흰 기운을 살펴봄.
1702년 5월 18일
이사영(李思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2년 7월 13일
교동에 해일이 일어남.
1702년 10월 17일
교동에 해일이 일어남.
1703년 1월 5일
이사영을 강화유수에 유임시킴.
1703년 7월 18일
이건명(李健命)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3년 9월 25일
강화유수 이건명이 대청포 등지의 홍문(虹門)의 개조를 청함.
1704년 2월 3일
이인엽(李寅燁)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4년 7월 5일
강화유수 이인엽이 해방(海防)에 대한 책을 바침.
1704년 8월 30일
강화유수 이인엽이 창사(倉舍)의 보수를 건의함.
1704년 9월 28일
강화유수 이인엽이 군사훈련 실시를 건의함.
1705년 5월 7일
민진원(閔鎭遠)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7년 1월 25일
강화에 제언을 쌓는 역사(役事)를 계속함.
1707년 5월 11일
황흠(黃欽)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8년 4월 10일
유집일(兪集一)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8년 5월 2일
박권(朴權)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08년 10월 8일
강화 북일목장(北一牧場)을 혁파함.
1708년 12월 3일
진강목장을 혁파하고 농사를 짓게 함.
1709년 1월 28일
훈련대장 이기하(李基夏) 등이 강도의 형편을 살핌.
1709년 10월 2일
판중추부사 최석정(崔錫鼎)이 강화의 축성을 살펴봄.
1710년 4월 29일
민진원(閔鎭遠)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10년 6월 29일
진강목장을 옮겨 설치하고 백성을 모집하여 농사짓게 함.
1712년 4월 17일
강화에 우박이 쏟아짐.
1712년 5월 13일
진강목장을 태복시(太僕寺)에 소속함.
1712년 6월 14일
강화에 우박이 쏟아짐.
1713년 4월 11일
어용(御容) 화본(畵本)을 강화 장녕전(長寧殿)에 봉안함.
1713년 4월 13일
강화에서 입이 둘, 눈이 넷, 다리가 여덟인 돼지가 태어남.
1713년 8월 8일
승지·사관이 어진(御眞)을 받들고 강도로 감.
1713년 9월 15일
강도의 쌀 1만석을 호남으로 운송함.
1713년 11월 28일
김진규(金鎭圭)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14년 1월 30일
강화 등지에 지진이 발생함.
1714년 4월 19일
강화에 홍수가 나서 각종 곡식이 상함.
1714년 5월 10일
강화 등지에 큰비가 내림.
1714년 7월 23일
교동에 이충(泥蟲)이 크게 발생함.
1715년 3월 3일
이태좌(李台佐)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17년 6월 1일
전염병이 성행하자 강화유수 등이 제사를 지냄.
1718년 윤8월 3일
교동에서 지지(紙地)를 방납(防納)함.
1718년 12월 6일
강화부의 전염병에 걸린 자가 561명, 사망자는 96명임.
1719년 1월 19일
심택현(沈宅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19년 2월 2일
강화부의 전염병에 걸린 자가 1101명, 사망자가 607명임.
1719년 2월 20일
전 강화유수 권성(權픸)이 돈대 14 군데를 쌓을 것을 건의함.
1719년 7월 25일
강화유수 심택현이 강도를 주관하는 당상을 둘 것을 건의함.
1720년 7월 11일
이재(李縡)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0년 8월 10일
홍계적(洪啓迪)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1년 6월 3일
이태좌(李台佐)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1년 11월 29일
권업(權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1년 12월 18일
심수현(沈壽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2년 4월 21일
이정신(李正臣)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3년 10월 17일
박필몽(朴弼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4년 2월 30일
강화에서 무재(武才)를 시행함.
1724년 5월 2일
강화·교동에 해일이 일어남.
1724년 12월 2일
김동필(金東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4년 12월 14일
황이장(黃爾章)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5년 4월 4일
조관빈(趙觀彬)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5년 5월 6일
박사익(朴師益)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5년 6월 16일
강화 외성 일부가 바닷물에 침식되어 무너짐.
1725년 10월 18일
강화부에 지진이 발생함.
1725년 12월 3일
강화에 문과와 무과를 실시하도록 함.
1725년 12월 15일
강화에서 순절한 구원일(具元一)·강위빙(姜渭聘)·황선신(黃善身)의 제사를 지냄.
1727년 윤3월 11일
강화유수 박사익이 병조판서에 제수됨.
1727년 4월 15일
이기진(李箕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7년 9월 12일
송성명(宋成明)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8년 5월 20일
신사철(申思喆)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8년 8월 16일
정석오(鄭錫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29년 11월 26일
박사수(朴師洙)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0년 4월 19일
유척기(兪拓基)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0년 9월 20일
강화유수 유척기가 강화지역의 썩은 쌀의 탕감을 청함.
1731년 1월 6일
강화부의 100세가 넘은 여인에게 세찬(歲饌)을 내림.
1732년 2월 14일
윤유(尹游)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2년 3월 17일
강화 등지의 군량미로 경기지역을 진휼함.
1732년 윤5월 13일
교동수사(喬桐水使) 구성익(具聖益)에게 말을 하사함.
1732년 6월 9일
교동의 무사들이 강도의 무재(武才)에 응시 할 수 있게 됨.
1732년 12월 11일
민응수(閔應洙)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3년 1월 10일
이진순(李眞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3년 2월 8일
이유(李瑜)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3년 10월 19일
이광덕(李匡德)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3년 12월 18일
김동필(金東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4년 1월 20일
과도하게 세금을 징수한 송가도(松家島) 수사를 파직함.
1734년 2월 29일
강화유수 김동필의 건의로 썩은 군향을 모곡(耗穀)으로 보충하게 함.
1735년 9월 24일
심택현(沈宅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5년 12월 14일
이광덕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6년 8월 11일
강화에 거주하던 우찬성 세자이사(世子貳師) 정제두(鄭齊斗)가 사망함.
1736년 8월 11일
1736년 12월 11일 : 조명익(趙明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7년 2월 8일
전등사의 승려 문학(文學)이 어보(御寶)를 위조하여 작첩(爵帖)을 훔쳐 팔다가 체포됨.
1737년 10월 11일
윤용(尹容)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7년 11월 20일
강화유수 윤용이 강도의 성곽을 수리하고 군량을 축적하여 비상시에 대비함.
1738년 8월 1일
권적(權썞)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39년 2월 20일
조명리(趙明履)를 강화시재어사(江華試才御史)로 임명함.
1739년 9월 12일
원경하(元景夏)를 강화시재어사로 임명함.
1740년 2월 8일
오원(吳援)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0년 2월 27일
시재어사 원경하가 강화부에서 무예 시험을 행함.
1740년 4월 23일
윤득화(尹得和)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1년 5월 14일
조명교(曹命敎)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1년 6월 2일
김시혁(金始爀)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2년 10월 10일
강화유수 김시혁이 토성인 강화성을 청나라의 번벽법(燔쮱法)을 사용하여 전성(塼城)으로 개축함.
1743년 4월 5일
강화유수 김시혁이 벽돌을 구워 성을 쌓는 법을 시행함.
1743년 6월 10일
강화부 축성을 삼군문(三軍門)에 나누어주어 완성함.
1743년 8월 14일
이익정(李益炡)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3년 8월 26일
강화유수 이익정을 교체하고 전 유수 김시혁을 유임시킴.
1744년 7월 14일
강화유수 김시혁이 토성을 전성으로 개축하였음을 고함.
1744년 7월 29일
이병상(李秉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4년 8월 19일
강화유수 이병상이 판돈녕(判敦寧)을 겸임함.
1744년 11월 12일
선혜청(宣惠廳)의 미곡 3만석을 강화에 지급함.
1744년 12월 1일
어용(御容)을 강화 장녕전(長寧殿)에 봉안함.
1745년 6월 3일
한현모(韓顯)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7년 3월 2일
서립도례(序立圖例) 1부를 정족산성 사고에 보관함.
1747년 5월 29일
강화유수 한현모가 내탕고(內帑庫) 은화를 도둑맞았다고 보고함.
1747년 8월 16일
권혁(權爀)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8년 5월 16일
강도에서 병자년에 죽은 충신을 충렬사(忠烈祠)에 배향함.
1748년 12월 21일
심악(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9년 4월 12일
원경하(元景夏)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49년 8월 20일
강화 해안을 따라 나무를 심음.
1749년 8월 23일
강화유수 원경하가 강화에서 1000여 마리의 소가 죽었다고 보고함.
1749년 11월 21일
김광세(金光世)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1년 5월 8일
강화에 우박이 오고 눈이 내림.
1751년 9월 2일
조관빈(趙觀彬)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2년 5월 27일
한익모(韓翼)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3년 4월 17일
신사건(申思建)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5년 4월 24일
정형복(鄭亨復)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5년 12월 28일
조영국(趙榮國)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7년 5월 21일
김상석(金相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7년 6월 6일
이방수(李邦綏)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757년 9월 7일
부제학 서지수(徐志修)를 교동수사에 임명함.
1758년 3월 23일
홍계희가 강화 사고에서 ≪조선왕조실록≫을 고출(考出)함.
1759년 5월 23일
원경순(元景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59년 10월 6일
교동부에 신포(身布) 등을 내년 가을까지 정지하라고 함.
1759년 11월 8일
교동의 조세 전부를 감함.
1760년 10월 20일
홍낙성(洪樂性)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61년 4월 10일
황주목사(黃州牧使) 김상량(金相良)을 교동부에 충군시킴.
1762년 1월 2일
심성진(沈星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62년 10월 10일
강도미 1500석을 구휼에 사용함.
1762년 11월 19일
강필리(姜必履)를 강화순심어사(江華巡審御史)로 임명함.
1764년 5월 4일
김상익(金尙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64년 7월 24일
어사 정반(鄭槃)을 교동에 보냄.
1764년 11월 20일
해서의 곡식으로 교동의 백성들을 구제함.
1765년 5월 21일
원경렴(元景濂)을 교동수사에 임명함.
1765년 9월 22일
한림(翰林)이 강화에 가서 실록을 고증함.
1765년 9월 22일
훈련대장 구선복(具善復)이 강도의 목장의 형세를 살핌.
1766년 11월 4일
이은(李?)을 강화유수에 유임시킴.
1767년 6월 5일
강화유수 이은을 교체하고 정상순(鄭尙淳)을 임명함
1767년 7월 7일
강화유수 정상순에게 말 1필을 하사함.
1767년 7월 13일
병조판서 조운규(趙雲逵)를 교동수사에 임명함.
1768년 1월 9일
강화·교동 등지에 봄철 조련을 중지함.
1768년 6월 15일
교동수사 이인강(李仁康) 등을 추고(推考)함.
1768년 12월 15일
강화유수 정상순을 추고함.
1769년 4월 9일
황경원(黃景源)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1년 2월 21일
도승지 유언민(兪彦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1년 11월 12일
강화 군사를 집합시켜 점검하는 것을 중지함.
1773년 5월 14일
강화유수 성천주(成天柱)에게 말을 하사함.
1773년 12월 28일
선전관 이의빈(李義彬)을 교동에 유배함.
1774년 1월 8일
이휘지(李徽之)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4년 6월 21일
홍문관제학 조엄(趙쵓)과 조명정(趙明鼎)을 교동부에 충군시킴.
1775년 3월 4일
홍낙명(洪樂命)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5년 6월 24일
시인(市人)·공인(貢人)을 교동부에 충군함.
1776년 1월 21일
훈련대장 이장오(李章吾)를 교동부에 충군함.
1776년 5월 16일
강화부유수 홍낙명을 이미(李쭶)로 교체함.
1776년 10월 13일
교동부사 신대현(申大顯)을 남양부(南陽府)에 유배함.
1777년 2월 21일
강화유수 김종수(金鍾秀)가 주강(晝講)함.
1777년 4월 5일
강화유수 김종수(金鍾秀)가 별시재(別試才) 시행을 건의함.
1777년 6월 25일
이복원(李福源)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7년 8월 28일
교동부를 현(縣)으로 강등함.
1778년 윤6월 21일
정치달(鄭致達)의 처 화완옹주(和緩翁主)를 교동부에 거주케 함.
1779년 1월 6일
이진형(李鎭衡)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9년 3월 8일
통어영(統禦營)을 강화부와 합함.
1779년 9월 20일
강화유수 홍낙순(洪樂純)을 우의정으로 임명함.
1779년 9월 27일
채제공(蔡濟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79년10월 4일
이성원(李性源)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0년 3월 27일
조준(趙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1년 2월 27일
유언호(兪彦鎬)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1년 3월 10일
서호수(徐浩修)를 강화유수에 제수함.
1781년 6월 29일
강화부 행궁에 있던 책들을 외규장각으로 옮김.
1781년 9월 24일
김익(金칃)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1년 12월 15일
교동에 수곤(水쥀)을 설치하지 말라고 함.
1781년 12월 19일
군기를 강화부의 별고(別庫)에 저장함.
1781년12월 20일
강화부의 사고에 간직한 어적(御籍)을 창의궁(彰義宮) 장보각(藏譜閣)에 봉안함.
1782년 2월 14일
외규장각(外奎章閣)이 완성됨.
1782년 12월 30일
이노춘(李魯春)을 강화경력에 임명함.
1783년 6월 24일
강화부에 우박이 내림.
1783년 10월 28일
정지검(鄭志儉)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4년 1월 20일
강화부에 조칙과 구휼미를 하사함.
1784년 4월 20일
강화 백성 2만 9235명에게 구휼미를 줌.
1785년 10월 1일
팔조(八朝)의 실록과 각 전궁(殿宮)의 책보(冊寶)와 책인(冊印) 등을 강화부에 봉안함.
1786년 1월 19일
박우원(朴祐源)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6년 2월 22일
강화 충렬사(忠烈祠)에서 제사를 지냄.
1786년 12월 28일
은언군(恩彦君) 이인(李?)을 강화부에 유배보냄.
1787년 5월 23일
강화부의 기민 4232명을 구휼함.
1788년 5월 7일
윤승렬(尹承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9년 7월 28일
강화에서 돌을 채취하는 일을 금지함.
1789년 10월 1일
신대승(申大升)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89년 11월 3일
정민시(鄭民始)를 교동수사에 임명함.
1789년 11월 4일
교동수사 정민시를 내직(內職)에 유임시킴.
1789년 12월 15일
훈련대장 이장오(李章吾)가 교동에 충군됨.
1790년 7월 10일
교동에 해일이 일어남.
1790년 12월 4일
홍수보(洪秀輔)를 강화유수로 삼음.
1791년 2월 21일
안평대군 이용(李瑢)이 강화에 유배되었다가 사망함.
1791년 8월 29일
유당(柳戇)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2년 7월 2일
조종현(趙宗鉉)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2년 11월 23일
정호인(鄭好仁)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2년 12월 24일
강화의 대장에 올라 있는 배의 세를 조정함.
1793년 6월 29일
윤사국(尹師國)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3년 8월 22일
경기 연안 고을의 쌀로 흉년이 든 교동을 구휼함.
1793년 9월 11일
어사 윤치성(尹致性)을 교동부에 파견함.
1794년 4월 12일
조윤대(曺允大)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4년 4월 13일
강화유수 조윤대(曺允大)를 의금부에 하옥함.
1794년 4월 14일
훈련대장 서유대(徐有大)와 어영대장 이경무(李敬懋)를 강화부에 충군함.
1794년 5월 12일
교동의 기민 1만 9333명에게 진휼미 1224석을 사용함.
1794년 5월 22일
강화에 충군한 죄인 서유대를 훈련대장에 제수함.
1795년 2월 6일
이재학(李在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5년 윤2월 28일
구휼용으로 강화에 200냥을 보냄.
1795년 6월 30일
김이익(金履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5년 7월 5일
교동 등지의 기민 14만 8490명에게 곡물을 나누어줌.
1795년 8월 15일
이시원(李始源)을 강화시취어사(江華試取御史)로 임명함.
1795년 8월 21일
강도 유생들의 시권(試券)을 심사함.
1795년 8월 24일
무시(武試) 및 별시(別試)에 합격한 사람을 시상함.
1796년 4월 23일
이병정(李秉鼎)을 월곶진(月串鎭)으로 유배함.
1796년 8월 9일
충정공(忠貞公) 윤집(尹集)을 강화 충렬사에 배향함.
1797년 2월 24일
임시철(林蓍喆)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7년 4월 26일
이의필(李義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7년 6월 15일
신광리(申光履)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7년 8월 15일
강화유수 신광리가 은언군 이인이 유배처를 나간 일을 보고함.
1798년 9월 9일
홍명호(洪明浩)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799년 4월 3일
강화유수 홍명호를 정2품으로 승진시킴.
1800년대
1800년 6월 5일
이경일(李敬一)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0년 12월 4일
강화에 표류한 중국 등주부(登州府) 사람을 육로로 호송함.
1801년 5월 29일
강화부에 거주하던 죄인 이인(李?)을 사사함.
1801년 11월 7일
강화에 표착(漂着)한 중국인을 북경으로 돌려보냄.
1802년 6월 1일
한용탁(韓用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3년 10월 7일
강화유수 한용탁이 흉년 상황을 보고함.
1804년 5월 3일
오재소(吳載紹)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4년 12월 1일
교리 김상휴(金相休)를 강화부안핵어사(江華府按탢御史)로 임명함.
1806년 3월 6일
윤서동(尹序東)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8년 2월 28일
김선(金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9년 10월 29일
강화의 재해지 88결의 세금을 면제함.
1810년 1월 11일
윤치성(尹致性)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0년 10월 3일
강화의 재해지 63결에 대해 세금을 면제함.
1811년 7월 6일
오태현(吳泰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2년 1월 22일
홍의호(洪義浩)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2년 7월 30일
교동 등 백성에게 곡식 6620석을 나누어 진휼함.
1812년 10월30일
재해를 입은 강화의 605결에 대해 세금을 면제함.
1813년 5월 29일
강화의 기민 2만 255명에 대해 절미(折米)를 나누어줌.
1813년 10월 3일
강화에서 재해 비용으로 전문(錢文) 2600냥을 책정함.
1814년 6월 1일
박종경(朴宗京)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5년 7월 29일
강화 기민에게 쌀 3131석을 나누어 진휼함.
1815년 10월 30일
재해를 입은 301결에 대하여 세금을 면제함.
1816년 4월 5일
강화 충렬사에서 제사를 지냄.
1816년 5월 12일
서능보(徐能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7년 1월 1일
충렬사에서 제사를 지냄.
1817년 4월 6일
김상휴(金相休)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7년 10월 29일
재해를 입은 강화 134결에 대하여 세금을 면제함.
1819년 3월 16일
조만원(趙萬元)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1년 1월 1일
서준보(徐俊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1년 6월 5일
윤노동(尹魯東)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1년 10월 3일
강화 238결에 대한 세금를 면제함.
1822년 3월 3일
송면재(宋冕載)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2년 3월 11일
예조가 강화부 고 유의태(劉義泰) 처 하씨를 열녀로 정표함.
1822년 10월 29일
재해를 입은 강화의 422결의 세금을 면제함.
1822년 11월 5일
열녀인 교동의 황상빈(黃尙彬)의 딸을 위해 정문을 세움.
1824년 1월 2일
신현(申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5년 10월 3일
강화 백성들에게 절미 1500석을 나누어줌.
1826년 5월 1일
이광헌(李光憲)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7년 3월 1일
서유구(徐有즧)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0년 7월 2일
이약우(李若愚)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1년 9월 21일
홍명주(洪命周)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2년 10월 3일
재난으로 강화는 절미 3200석 등을 지급 받음.
1833년 5월 29일
강화백성에게 진곡 4242석을 나누어줌.
1833년 7월 1일
김기상(金基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3년 10월 29일
강화 백성에게 보리 2580석 등을 지급함.
1834년 6월 17일
김매순(金邁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4년 6월 24일
강화의 기민 5만 5639명에게 곡식을 지급함.
1835년 6월 24일
교동에서 300호가 침몰되고 70여 명이 사망함.
1835년 8월 23일
이현영(李顯英)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36년 6월 19일
이관규(李寬奎)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37년 4월 10일
구석붕(具錫朋)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38년 12월 10일
백은진(白殷鎭)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1년 4월 5일
서상오(徐相五)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3년 12월 26일
김택기(金宅基)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5년 2월 6일
심낙신(沈樂臣)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6년 2월 6일
오현문(吳顯文)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7년 6월 24일
김한철(金翰喆)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8년 7월 6일
이의식(李宜植)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8년 7월 22일
이규철(李圭澈)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9년 3월 11일
김상우(金相宇)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50년 3월 4일
황호민(黃浩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1년 8월 13일
교동의 무너진 집을 구휼함.
1851년 8월 13일
강화부의 무너진 집을 구휼함.
1852년 1월 1일
정덕화(鄭德和)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2년 2월 7일
이원달(李源達)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2년 12월 28일
홍우철(洪祐喆)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3년 3월 14일
정기세(鄭基世)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3년 12월 2일
이노병(李魯秉)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4년 10월 16일
김병국(金炳國)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4년 11월 5일
조연창(趙然昌)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5년 10월 12일
김한순(金漢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6년 10월 14일
김영근(金泳根)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7년 3월 5일
강화유수 김영근(金泳根)에게 자헌(資憲)의 품계를 제수함.
1857년 4월 16일
이의익(李宜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9년 1월 5일
조연흥(趙然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9년 3월 9일
윤행복(尹行福)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9년 6월 25일
조충식(趙忠植)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0년 9월 6일
이명적(李明迪)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2년 2월 26일
김동헌(金東獻)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2년 11월 6일
홍원섭(洪遠燮)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3년 11월 22일
정헌용(鄭憲容)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4년 8월 1일
어영청에서 강화유영의 은자 4000냥 중 1500냥을 대용함.
1865년 3월 10일
이인기(李寅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5년 윤5월 30일
강화유수 이인기가 진보·돈대·군기고·행궁 등을 수리함.
1866년 7월 10일
오페르트(Oppert)가 강화에 들어옴.
1866년 7월 10일
상선 엠페리호가 교동부 서면 두산리 앞 바다에 정박함.
1866년 7월 11일
오페르트가 강화 월곶진 승천보에 정박하여 통상을 요구함.
1866년 7월 26일
강화에서 이양선과 밀통한 안춘득(安春得)을 처형함.
1866년 8월 15일
프랑스군함 데루레도호와 타리디프호가 염하를 통과함.
1866년 8월 16일
프랑스군함 2척을 방어하지 못한 이유로 강화중군 이일제(李逸濟)를 파직하고 역관 2명을 파견하여 프랑스군함를 퇴각시킴.
1866년 8월 27일
프랑스함대 사령관 로즈(Roze)제독이 강화해역에서 철수함.
1866년 9월 6일
프랑스군함 4척이 갑곶진에 닻을 내리고 제물진에 상륙함.
1866년 9월 7일
프랑스 해군중령 도스리가 해병을 이끌고 강화부를 정탐함.
1866년 9월 7일
훈련대장 이경하, 총융사 신관호에게 강변의 방어 강화를 지시함.
1866년 9월 8일
프랑스함대가 강화부성 점령하고 군기 세곡 은피 등을 약탈함.
1866년 9월 9일
강화부 방어에 실패한 이인기·이능회(李能會) 등을 파직하고 이장염(李章濂)·박희경(朴熙景) 등을 임명함.
1866년 9월 12일
프랑스군이 광성진에서 군물을 탈취하고 화약고를 폭파함.
1866년 9월 18일
프랑스군 120명이 문수산성을 점령함.
1866년 9월 21일
강화부 이시원(李是遠)·지원(止遠) 형제가 프랑스군 침입에 저항하다 약을 마시고 자결함.
1866년 9월 21일
프랑스군이 강화에 침입함.
1866년 9월 22일
프랑스군함 2척이 강화에 포격함.
1866년 10월 2일
천총 양헌수(梁憲洙)가 정족산성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함.
1866년 10월 4일
천총 양헌수를 정족산성 승리의 공로로 한성부우윤에 임명함.
1866년 10월 5일
프랑스군이 강화부를 점령하여 서적과 문화재를 약탈 도주함.
1866년 10월 7일
강노(姜老)를 강화부위유사에 임명함.
1866년 10월 15일
강화부에 포수 500명을 주둔시킴.
1866년 10월 18일
강화 전투 때 단신으로 대항하다 전사한 이춘일(李春日)·조광보(曹光甫) 등을 증직함.
1866년 10월 30일
강화부의 환곡을 1/3로 탕감함.
1866년 11월 15일
강화 선두진을 혁파하고 정족산성으로 이전함.
1868년 4월 28일
외양선 침입에 대비하여 영종·교동에 봉화대를 설치함.
1871년 4월 24일
미국 아시아함대가 초지진과 광성보에 침입하여 진무중군 어재연(魚在淵)이 방어하였으나 전사하여 패배함.
1871년 4월 25일
미국 상륙군부대가 강화에서 철수함.
1871년 5월 3일
어재연에게 병조판서를 추증하고, 충장(忠壯)의 시호를 내림.
1871년 6월 2일
초지진·광성진의 민호에게 내탕전을 나누어 지급함.
1874년 3월 20일
강화연안 용진(龍津) 등 3진에 포대를 신설함.
1875년 8월 20일
강화 수병이 초지진에서 일본군함 운양호(雲揚號)와 충돌함.
1875년 8월 21일
운양호가 강화에 침입하였으나 수군의 반격으로 격퇴함.
1876년 1월 3일
일본군함 맹춘호(孟春號)가 강화 초지진에 정박함.
1876년 1월 4일
일본군 흑전청융(黑田淸隆)·정상형(井上馨)이 맹춘호를 타고 강화 부근에서 철수요구를 거부하고 측량을 실시함.
1876년 1월 11일
강화유수 조병식이 삼산무(森山茂) 일행을 접견함.
1876년 1월 15일
강화판관 박제근이 초지진 갑관진에 상륙한 일본인 100여 명에게 시탄 공급사실을 보고함.
1876년 1월 16일
이건구(李建九)를 참모사에, 최경선(崔敬善)을 별군관(別軍官)에 임명하여 강화에 파견함.
1876년 1월 17일
접견대신 신헌(申櫶), 부관 윤자승(尹滋承)이 강화 연무당에서 일본 흑전청융(黑田淸隆)·정상형(井上馨)과 회담을 시작함.
1876년 1월 18일
접견대신 신헌이 일본 변리대신 흑전청융과 강화부 집사청에서 담판함.
1876년 1월 30일
강화유수 조병식이 일본군 철수를 보고함.
1876년 2월 2일
일본이 운양호사건 구실로 강화도조약 체결을 요구함.
1876년 2월 3일
접견대관 신헌, 부관 윤자승이 강화 연무당에서 일본대표와 회동하여 전문 12조의 조일수호조규 조인.
1876년 6월 15일
일본인 3명이 강화영에서 상경을 요청함.
1876년 7월 6일
조약 보완을 위해 병자수호조규부록 조일무역규칙을 체결함.
1882년 11월 16일
강화유수 김윤식(金允植)이 원세개(袁世凱)에게 강화의 군사사항 자문을 요청함.
1884년 4월 3일
강화유수 김윤식이 신영병정(新營兵丁)을 설치함.
1884년 10월 29일
강화유수의 해방총관(海防總官) 겸직을 폐지함.
1887년 5월 13일
강화부에 병영을 설치함에 따라 친군심영(親軍沁營)이라 칭함.
1886년 10월 25일
민영규(閔泳奎)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88년 1월 30일
정낙용(鄭洛鎔)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89년 3월 24일
민병석(閔丙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89년 11월 9일
민영준(閔泳駿)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0년 2월 15일
송세헌(宋世憲)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0년 3월 27일
조동면(趙東冕)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3년 3월 18일
해연총제사(海沿總制使)가 강화유수와 진무사를 겸하게 하고, 민응식(閔應植)을 이에 임명함.
1894년 9월 28일
동학농민군 진압을 위해 강화영 병정 200명이 은진으로 출발.
1894년 10월 2일
강화유수가 동학교도 김원팔(金元八)의 처형 사실을 보고함.
1894년 12월 23일
신정희(申正熙)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5년 4월 17일
이준용(李埈鎔)을 교동으로 유배보냄.
1895년 5월 26일
유수부를 폐지함에 따라 강화유수부는 강화군으로, 교동현은 교동군으로 변경되어 모두 인천부에 소속됨.
1895년 윤5월 1일
강화유수는 강화군수로 격하됨.
1895년 6월 12일
교동에 유배중이던 이준용을 석방함.
1896년 2월 4일
강화군공립소학교(현 강화초등학교) 설립
1896년 5월 22일
교동에 유배중이던 민영준과 민형식(閔炯植)을 석방함.
1896년 8월 5일
참령 장기염(張基廉)을 강화지방대 대대장으로 임명함.
1896년 8월 27일
강화·교동 등지의 재판관할구역이 한성재판소에 이속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