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년대
1897년 6월 23일
이규증(李奎曾)을 강화지방대 대대장으로 임명함.
1897년 11월 1일
강화·교동의 관할권이 한성재판소에서 경기재판소로 이속됨.
1898년 1월
영국인 의사 로우스(Laws ; 한국명 盧仁山)가 강화읍에서 진료소를 개설함.
1899년 1월 15일
진위대편제 개정되어 강화는 지방진위대를 둠.
1899년 6월 4일
영학당 소요진압 위해 강화지방대(江華地方隊)를 출발시킴.
1900년대
1900년 1월 21일
강화부 등의 사고수호건(史庫守護件) 중 일부를 개정 반포함.
1900년 4월 3일
황제가 강화진위대의 연조를 관람하고 위관 이하에게 시상함.
1900년 10월 24일
강화부 정족산성사고의 잃어버린 ≪인조실록≫ 2책을 보충함.
1900년 11월 15일
강화에 영국성공회 교회를 설립함.
1905년 10월 5일
일진회에서 강화학교를 설립함.
1906년 1월 17일
강화에서 일진회원의 작폐가 심함.
1906년 1월
일제헌병대가 일진회에 반대한 강화주민을 무력으로 진압함.
1906년 4월 21일
강화 개진교육회 황익주(黃翊周)가 중성학교(中成學校)를 설립.
1906년 10월 15일
고려 고종 홍릉이 도굴됨.
1907년 8월 9일
진위대 강화분견대가 군대 해산을 반대하여 강화성을 점령함.
1907년 8월 10일
진위대 강화분견대와 의병 유명규(劉明奎)·지홍윤(池弘允)·이동휘(李東輝) 부대가 갑곶에서 일본군과 교전함.
1907년 8월 11일
일본군은 강화성 점령하여 강화진위대를 해산시키고 일진회를 동원하여 가택을 수색함.
1907년 8월 13일
일본군과 교전한 강화의병대장 이동기가 경성에서 체포됨.
1907년 8월 15일
강화분견대 병사와 무장시민단이 탈출을 시도함.
1907년 12월
이동휘가 경기도 강화읍에 보창학교를 설립함.
1908년 2월 24일
이동휘·강대흠·황범주 등이 강화의 교육을 위한 학무회를 조직.
1908년 4월 9일
의병 10여 명이 선박으로 교동군 송가면(松家面)을 습격하여 면장 조인증(趙仁增)에게서 군수금을 징발함.
1908년 4월 15일
의병 30 명이 강화 북사면에서 군용금을 모금함.
1908년 4월 19일
의병 14 명이 교동 순사주재소를 습격함.
1908년 5월 14일
강화 80여 학교 학생 등 2600여 명이 강화군 학교연합운동회를 실시함.
1908년 5월 18일
의병 수십 명이 북사면 산이포에 내습함.
1908년 6월 2일
의병 40여 명이 산문동에서 강화헌병분견소 토벌대와 교전함.
1908년 6월 20일
의병 30여 명이 산이포에서 풍덕수비대 토벌대와 교전하다 의병 7명이 전사.
1908년 7월 17일
의병 출현설로 인천항경찰서는 강화군 건평동에 경찰을 급파함.
1908년 7월 29일
의병 70명이 서문 밖에서 일진회원 2명을 사살함.
1908년 8월 3일
의병 80여 명이 강화 망도리에서 일본토벌대와 교전함.
1908년 8월 4일
의병 80여 명이 강화 서쪽지역에서 강화분견대와 교전하다 의병 14명 전사.
1908년 10월 24일
의병 80여 명이 북사면 산이동·창교동 등지를 내습함.
1908년 10월 29일
의병 30여 명이 삼해면 백련사 부근에서 일본인 수렵인을 습격함. 의병 60여 명이 하음면에서 강화헌병대 14명과 교전함.
1908년 10월 30일
의병 50여 명이 강화군에 매복하여 일본군을 기습공격함.
1908년 10월
강화 보창학교장 이동휘는 학교 경영난으로 이유로 재단을 학교 부속화할 것을 요구함.
1908년 10월
김수민 의병부대가 강화를 점령함.
1908년 11월 13일
의병 50여 명이 강화성에서 강화분견소 헌병과 교전함.
1908년 11월 14일
의병 10여 명이 강화 북사면 삼성동 내습함.
1908년 11월 23일
의병 50여 명이 강화 전등사를 내습함.
1908년 11월 26일
의병 약 20명이 강화 정두동에서 용산부대와 교전함.
1908년 11월
일본군이 강화군의 의병가담 혐의자 8명을 포획·살해함.
1908년 12월 1일
의병 5명이 강화 북쪽 약 10리 지점에서 강화도 분견소원과 교전하다 의병 2명이 전사함.
1908년 12월 14일
의병장 이능권이 강화에서 활약 중 인천경찰서에 체포됨. 인천-강화군 건평 간 경비전화를 개통함.
1908년 12월 24일
인천경찰이 의병 10여 명을 강화에서 체포하여 인천으로 압송함.
1909년 1월 6일
인천지역 의병 4명이 송가도 박태겸의 집에서 마포·옥양목 등을 징발함.
1909년 2월
동양협회 전문학교 간사 하정홍이 강화 전등사 사고 소장 서책 21권을 반출함.
1910년 5월 1일
의병 6명이 교동군 남면에서 강화헌병분견대에 체포됨.
일제강점기
1912년 3월 31일
전등사 개성 포교당을 설립함.
1914년 3월 1일
교동군을 강화군에 편입. (화개면, 수정면을 둠)
1914년 4월 30일
강화읍 관청리에 성미카엘 신학원을 개설함.
1914년
경성지방법원 강화출장소 개소. (등기업무)
1919년 3월 13일
강화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함.
1919년 3월 18일
강화 군민이 만세 시위.
1919년 12월 3일
강화경찰서 개서.
1920년 7월
조선노동공제회 강화지회 발회식을 개최함.
1920년 5월 14일
강화성공회 교우친목회에서 토론회를 개최함.
1920년 6월 7일
강화군청에서 역둔토 일부를 소작인에게 팔기로 내정함.
1920년 6월 15일
김승백(金承伯) 등 140여 명이 온수리에 보통학교를 설립함.
1920년 6월 28일
강화금주회를 발기함.
1920년 7월 24일
강화청년회에서‘남녀동등의 문제’을 주제로 연합토론회를 개최.
1920년 7월 24일
강화 춘잠견(春蠶繭)을 공동 판매함.
1920년 7월 25일
경성 정동성공회 전도대가 강화에 옴.
1920년 8월 23일
강화 교풍회(矯風會)에서 조선산으로 의복을 만들어 사용함.
1920년 9월 5일
강화에 콜레라가 만연함.
1920년 9월 10일
강화 교풍회에서 방역 활동에 힘씀.
1920년 9월 17일
잠두합일학교와 공립보통학교가 콜레라 만연으로 개학을 연기함.
1920년 10월 31일
온수리 공립보통학교 대운동회를 개최함.
1920년 3월
강화-인천 간 항로에 강화환(江華丸) 취항.
1921년 4월 17일
박기완(朴基完)이 빈민을 위해 백미 20석과 90원을 기부함.
1921년 4월 30일
강화금융조합 제12회 정기총회개최.
1921년 4월 30일
강화 대동사문회 주최 강연대회를 개최함.
1921년 5월 8일
강화청년회에서 주최하여 군내 청년단 연합웅변회를 개최함.
1921년 7월 10일
김의식(金義植)이 빈민 50여 호에 각각 정조(正租) 5두씩을 줌.
1921년 7월 10일
정세현(鄭世鉉)이 빈민 구제금으로 500원을 자선함.
1921년 7월 28일
상공진흥회 강화지부를 설치함.
1921년 8월 28일
강화 부인상회총회 개최함.
1921년 10월 17일
강화잠두합일학교 학생 40명 교동으로 수학여행을 감.
1921년 10월 26일
하점공보 건축에 착수함.
1921년 11월 2일
강화에서 박길양·김환일 등 5명을 종로서원이 체포함.
1921년 12월 12일
최병돈(崔秉敦)은 강화 잠두합일학교에, 유범렬은 문묘부속인 운동장을 위해 기부함.
1922년
강화산업조합 창설.
1922년 1월 13일
순직한 강화우편국 집배인 김종익(金鍾益)에 동정금을 지급함.
1922년 1월 13일
홍두섭이 자신의 소유토지 500여 평을 강화운동부에 기증함.
1922년 2월 15일
정원을 초과한 일로 제2강화환(江華丸)의 선장을 탄핵함.
1922년 2월 20일
성누시아서당 학예회 개최함.
1922년 3월 16일
홍종국(洪鍾國)을 강화 재근에 명함.
1922년 3월 20일
강화부인야학를 설립함.
1922년 4월 1일
인천연초판매조합 강화영업소 발족.
1922년 5월 10일
강화부인상회총회를 개최함.
1922년 5월 13일
강화군수가 강화공립보통학교 신축교사에서 훈화함.
1922년 6월 24일
길상면 온수리에 시장을 신설함.
1922년 7월 3일
강화읍에서 궁술대회를 개최함.
1922년 8월 8일
홍수 이재민을 구제함.
1922년 8월 21일
식산은행주최 저축선전 영화를 상영함.
1922년 8월 29일
홍수로 5300호가 침수됨.
1922년 12월 1일
강화청년구락부 주최 토론회를 개최함.
1923년
강화군 체육회 발족.
1923년 2월 15일
창리에서 왕성한 금연운동을 전개함.
1923년 3월 17일
300여 호 금주·금연운동.
1923년 3월 18일
강화통운조합이 발기 총회.
1923년 3월 18일
부내면에 무산상구동맹회(無産相救同盟會)를 조직함.
1923년 4월 26일
강화 완초화문석 현황을 파악함.
1923년 4월 28일
강화에서 경기도 사회과 조원환(曹元煥)의 사회강연회를 개최함.
1923년 6월 17일
곡상조합에서 강화 합일학교 교사 신축에 기부함.
1923년 7월 9일
강화학생들이 각 면을 돌아다니며 강연과 경기를 함.
1923년 7월 23일
강화 유학생친목회에서 주최하여 순회음악 및 강연단을 조직함.
1923년 8월 10일
최국현이 합일여학교 교사 건축에 200원을 기부함.
1923년 8월 15일
수해로 제방이 무너져 농작물을 버림.
1923년 8월 22일
강화강습소에서 하와이 학생에게 화문석을 기증함.
1923년 8월 28일
강화 하도리 수해발생.
1923년 9월 3일
강화 길전(吉田) 서장이 강화강습소 신교사 건축비를 기부함.
1923년 10월 20일
우박으로 농작 피해 큼.
1923년 10월 26일
향재(鄕財)를 강화강습소 기본재산으로 사용함.
1923년 11월 2일
제4강화환 한 척을 증설하여 강화교통이 전에 비해 빨라짐.
1923년 12월 1일
폭풍우로 강화 근해에서 익사자가 3명, 행방불명이 1명이 발생.
1923년 12월 3일
굴을 캐는 남녀 30명이 탄 배가 파손되어 모두 사망함
1923년 12월 13일
강화 근해에서 배가 침몰하여 40여 명이 익사함.
1923년 12월 17일
장석우·이봉근·유군성 등 3명이 강화 합일보통학교에 기부함.
1924년 1월 22일
김포·강화지역에 홍역이 창궐함.
1924년 2월 6일
강화읍내 화재가 발생하여 손해가 150원에 이름.
1924년 3월 19일
강화향교에서 절부 2명을 표창함.
1924년 3월 20일
강화에 산불이 일어나 면유림이 전소함.
1924년 4월 13일
강화에 탄저병이 발생함.
1924년 4월 30일
인천-강화 간 뱃삯을 인하함.
1924년 7월 12일
강화 근해의 폭풍으로 어선 11척이 파손되고 2명이 사망함.
1924년 7월 26일
강화의 홍수 피해액은 90만원이며 3명이 죽고 4명이 부상함.
1924년 7월 30일
강화 수해구제회에서 수해 동정금을 모금함.
1924년 8월 17일
강화 개량마포의 성적이 양호함.
1924년 9월 26일
강화에 강도가 빈번함.
1924년 10월 7일
가뭄과 물난리로 강화 각 면의 수확이 불가능함.
1924년 10월 10일
강화 복면강도 3명이 잡힘.
1924년 10월 24일
강화에 향토병(鄕土疾) 예방 영화를 상영함.
1924년 11월 15일
강화에서 군자금 모집하던 안치명 정운선 안용균 등이 체포당함.
1924년 12월 2일
김운식(金運植)이 야학을 개최하고 무보수로 교육함.
1924년 12월 11일
강화경찰서 주재소 정리.
1924년 12월 13일
의사 나원용(羅元容)이 개업 1주년을 자축하기 위해 무료 진료권 500매를 배부함.
1924년 12월
길상면 전등사의 소작인 40여 명이 경작권리 변경에 항의함.
1925년 1월 17일
강화에 도난 빈번함.
1925년 2월 12일
강화무명동맹회가 신사회 건설을 표방하고 조직됨.
1925년 2월 22일
강화에 장티푸스가 만연함.
1925년 3월 16일
강화지방에 도박이 성행함.
1925년 3월 31일
교동에 독감이 발생하여 유아 사망자가 80명임
1925년 4월 11일
마니산 참성단을 수축함.
1925년 4월 17일
강화에 화재가 발생함.
1925년 5월 4일
어선이 침몰하여 어부 1명이 익사함.
1925년 5월 8일
삼산면장 고봉희(高鳳熙)가 빈민의 호세를 자비로 부담함.
1925년 5월 15일
S·M구락부를 조직함.
1925년 6월 1일
강화면 서기 채용 시험에 200명이 응시함.
1925년 6월 3일
수정면 난정리 임시국(林時菊)이 빈민의 호세 150원을 대납함.
1925년 7월 22일
홍수로 인하여 전답 피해는 50만원, 침수가옥은 300호 이상임.
1925년 9월
이유덕·박보원이 노동야학원 설립하여 학생 50명을 가르침.
1925년 9월 5일
양사면에 시장을 설립하기 위하여 설립운동원이 상경함.
1925년 11월 24일
오은섭이 토지 100평을 강화합일여학교 운동장 부지로 기부함.
1925년 12월 12일
동마다 10여 명의 열병 환자가 발생함.
1926년 1월 7일
강화중앙청년회의 제29회 집행위원회를 개최함.
1926년 4월 30일
길상공립보통학교에서 일본인 교원 배척을 위해 동맹휴학함.
1926년 5월 1일
길상공립보통학교 5학년생이 순종황제 추도에 대한 학교 측 위협에 대해 동맹휴학함.
1926년 5월 21일
경영난으로 폐쇄된 강화 봉산의숙이 다시 개교함.
1926년 6월 10일
순종황제 승하로 강화상민봉도단을 조직하여 장례식에 참가함.
1927년 5월 18일
강화군 지주 간담회 개최.
1927년 10월
경기도 곡물검사소 강화출장소 개소. 1928년 6월 7일 : 강화공립보통학교 교장이 학생을 구타한 사건으로 사회단체들이 군 당국에 항의·처벌을 주장함.
1928년 6월 10일
신간회 강화지회를 설립함.
1930년 10월
강화군내 곡가 하락으로 백미 1승에 25전이 16∼17전에 거래됨.
1930년 12월
온수금융조합이 농민재해로 인하여 대출상환 기한을 1년 연장함.
1931년 4월 13일
강화 상민들이 강화-인천 간 뱃삯 인하운동을 함.
1931년 5월 1일
서도면 어업조합 발족, 현 경인북부수산업협동조합으로 발전
1931년 12월 20일
강화에서 미가 폭등함.
1932년
강화인삼조합 창설.
1934년 8월
경성전기㈜ 강화군 부내면과 선원면에 전기공급.
1935년 2월
강화경찰서에서 이동휘추도회의 개최를 금지함.
1936년 7월 30일
박동섭이 강화합일학교에 500원을 기부함.
1936년 4월 20일
강화전등사 불교전문강원을 설치함.
1938년 1월 29일
강화에 케이블카를 건설하기로 결정함.
1938년 5월 3일
정수사법당 외 26점을 보물로 지정함.
1940년 5월
강화전등사에서 묘법련화경판을 발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