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강화군 보건소강화군 보건소



컨텐츠

치매관리

  1. HOME
  2. 보건사업
  3. 치매관리

치매 상담 및 등록

  • 기간 : 연중
  • 대상 :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려는 자
    (치매환자, 치매 고위험군, 정상군, 진단 미정)
  • 등록절차 :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기 위한 신규 등록자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제공 동의서’ 제출

    * 치매환자인 경우 진단서, 소견서, 처방전 중 하나의 서류 필요
    (진단명, 질병코드, 중증도, 치료 약제 등 확인)

치매안심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치매인식개선사업

  • 치매극복의 날 기념행사
  • 기간 : 치매극복의 날 (9.21)전후 1주일
  • 대상 : 주민 및 치매파트너, 환자, 환자가족
  • 내용 : 캠페인, 치매 한마음걷기, 가족Day운영 등
  • '치매! 함께해서 행복해요' 송년 발표회
  • 기간 : 매년 12월 중
  • 장소: 북부·남부인지건강센터
  • 대상 : 환자, 그 가족 및 주민
  • 내용 : 작품전시·장기자랑 및 가족소감 발표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치매파트너 사업
  • 기간 : 연중
  • 대상 : 초등학생 이상 누구나
  • 내용 : 온라인/오프라인 교육을 통한 치매파트너 및 치매파트너 플러스 양성
  • 문의 : 치매안심센터(032-930-4098)
  • 치매극복선도단체 및 치매안심가맹점 지정·관리
  • 기간 : 연중
  • 대상
    • 치매극복선도단체 : 기업, 기관, 단체, 학교(초·중·고등학교), 대학, 도서관
    • 치매안심가맹점 : 개인사업자
  • 내용
    • 치매환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
    • 치매극복활동 참여 및 치매관련 정보(리플릿 등) 비치
    • 배회환자 발견 시 유관기관(112) 신고 등
  • 문의 : 치매안심센터(032-930-4098)
  • 치매안심마을 운영
  • 기간 : 연중
  • 대상 : 치매안심마을 지역주민
  • 내용
    • 치매안심마을 운영위원회 회의, 치매인식개선 교육, 치매안심마을 및 치매인식개선 홍보
    • 지역주민 대상 프로그램 운영, 안심가맹점 지정 등 치매안전망 구축, 물리적 안전 환경 조성
  • 문의 : 치매안심센터(032-930-4098)

치매예방교실 운영

  • 치매예방교실 운영
  • 기간 : 연중
  • 대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정상군
  • 장소 : 치매안심센터 1층 프로그램실 등
  • 내용 : 하와이안 훌라, 라인댄스 등
  • 비용 : 무료
  • 문의 : 치매안심센터(032-930-4098)
  • 인지강화교실 "뇌건강학교" 운영
  • 기간 : 연중
  • 대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 고위험군(치매선별검사 상 인지저하자, 경도인지장애 진단자)
  • 장소 : 치매안심센터 1층 프로그램실
  • 내용 : 작업, 원예, 음악, 미술, 운동, 인지 등 인지강화 프로그램
  • 비용 : 무료
  • 문의 : 치매안심센터(032-930-4098)

협력의사 진료의 날 운영

  • 기간 : 둘째 주, 넷째 주 금요일 (오전 진료)
  • 장소 : 치매안심센터 1층 상담실
  • 대상 : 치매선별검사 결과 ‘인지저하자', 상담이 필요한 치매환자 가족
  • 진행 : 치매안심센터 협력의사(신경과 전문의)
  • 내용 : 전문의 진찰, 치매척도검사, 노인우울척도검사, 일상생활척도검사 등 실시, 가족상담
  • 비용 : 무료

치매조기검진사업

  • 기간 : 연중
  • 대상 : 치매로 진단받지 않은 관내 주민
  • 절차
    1. 1. 선별검사(CIST)
      :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북부·남부 인지건강센터,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2. 2. 진단검사
      (신경심리검사 LICA 외 4종 검사, 의사 진료 등)
      : 치매안심센터,
      협력병원(비에스병원, 마음튼튼의원, 강화병원)

    3. 3. 감별검사
      (혈액검사 및 뇌 영상 촬영)
      : 협력병원(비에스병원, 강화병원)

  • 비용 : 무료(진단검사 및 감별검사비는 건강보험료 본인부과액 기준 중위소득 120%이하 지원가능)
  • 문의 : 치매안심센터(032-930-4027)

맞춤형 사례관리사업

  • 목적 : 치매환자의 신체, 심리, 사회, 환경적 요구와 관련된 문제에 개입하여 삶의 질 향상
  • 대상 : 돌봄 사각지대에 있는 치매등록자
  • 신청 : 대상자 직접 신청, 보호자 신청, 타 기관 의뢰
  • 내용 : 일반, 중점, 긴급 대상자 대상자 구분을 통한 체계적 1:1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032)930-4591

쉼터 프로그램 운영[경증치매환자 인지훈련 프로그램]

  • 대상: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경증치매환자
    • ① 장기요양인정을 신청하지 않은 자
    • ② 장기요양등급(1~4등급)판정받은 대상자 중 장기요양서비스 미이용자

      (※ 장기요양등급(1~4등급) 판정받은 대상자의 경우 치매사업관리위원회 심의를 통해 이용여부 결정)

    • ③ 장기요양5등급자, 인지지원등급자
  • 장소: 남부인지건강센터(길상면), 북부인지건강센터(하점면)
  • 내용: 2개 오전반 운영(월수금반/화목반)
    • ① 치매중증화 예방을 위한 인지자극프로그램과 돌봄 제공
    • ② 신체 및 사회활동 지원으로 치매 진행 악화 방지
  • 운영: 연중(첫 이용시작일로부터 최대 1년)
  • 비용: 무료
  • 문의: 남부인지건강센터 ☎032-930-4089, 북부인지건강센터 ☎032-930-4088

치매가족 지원 사업

치매환자 가족교실

  • 대상 : 치매환자 가족
  • 기간 : 연중, 회기별 운영
  • 신청 : 모집기간중 선차순 신청
  • 내용 : 헤아림, 가치돌봄, 휴식공간 등 단계별 가족교육 프로그램 지원

    치매가족의 치매와 돌봄에 대한 이해 수업 등 지원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032)930-4591

자조모임

  • 대상 : 치매환자 가족
  • 기간 : 연중
  • 내용 :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을 통해 치매 관련 기사 및 정보 제공

    치매 어르신 돌봄 정보공유, 정서지지, 친목도모 등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032)930-4591

치매가족 힐링프로그램

  • 대상 : 치매환자 가족
  • 기간 : 연중, 회차별 운영
  • 신청 : 모집기간 중 선착순 신청
  • 내용 : 영화보기, DIY 만들기 등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구성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032)930-4591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

  • 기간 : 연중
  • 대상 : 보건소(치매안심센터)치매환자로 등록된 자로써 치매치료관리비를 받고자 하는 자
  •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과액 기준 중위소득140%이하 지원가능
  • 내용 : 치매치료를 위한 진료 및 약제비 본인부담금(월 3만원 한도)
  • 장소 : 강화군 치매안심센터, 북부/남부인지건강센터
  • 절차 : 신청서 제출 후 심사를 거쳐 3-5개월 후 일괄 지급
  • 제출서류
    • 처방전(치매치료제)
    • 통장사본
    • 가족관계증명서(보호자 신청 시)
    • 주민등록등본(치매 대상자)
    • 건강보험 자격확인서(보험료 납부자)
    • 보험료 납부확인서(보험료 납부자)
  • 2025년도 치매치료관리비지원 대상(기준 중위 소득기준 140%) 건강보험료 본인부과액 기준 (단위 : 원)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 8인 9인
    직장가입자 118,821
    (134,208)
    196,177
    (221,582)
    252,203
    (284,863)
    311,031
    (351,310)
    354,964
    (400,932)
    407,092
    (459,810)
    461,699
    (521,489)
    506,004
    (571,532)
    552,230
    (623,744)
    지역가입자 46,072
    (52,038)
    133,680
    (150,992)
    196,416
    (221,852)
    269,976
    (304,938)
    320,449
    (361,947)
    382,076
    (431,555)
    447,279
    (505,202)
    496,008
    (560,241)
    545,970
    (616,673)

    * ()안은 노인장기요양보험 포함 금액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032)930-4087

치매환자 실종예방사업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발급

  • 대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실종 위험이 있는 치매환자 및 만 60세이상 어르신
  • 기간 : 연중
  • 수량 :
  • 내용
    • 인식표 80매(1인당), 보호자 보관용 실종대응카드 1매
    • 의복에 열(다리미) 가하여 부착, 인식표 부착한 상태로 세탁
  • 인식표 및 보호자 보관용 실종대응카드 이미지

지문 등 사전등록제

  • 대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
  • 기간 : 연중
  • 방법 : 경찰청 시스템 안전드림 앱 이용

    치매환자의 지문과 사진, 보호자 정보를 등록(보호자 핸드폰 필요)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032)930-4591

위치추적기 지원사업

  • 대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실종 경험 혹은 위험이 있는 치매환자
  • 기간 : 연중
  • 내용 : 손목시계형 배회감지기 치매환자 착용, GPS를 이용하여 대상자 위치를 보호자 확인
    ※ 충전 및 관리가 필요함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032)930-4591

안심귀가팔찌 지원사업

  • 대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
  • 기간 : 연중
  • 방법 : 안심귀가팔찌 QR코드에 환자 신원정보 사전등록
    → 팔찌 착용시 QR코드 인식하여 신원 확인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032)930-4591

치매공공후견사업

  • 목적 : 판단능력 저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치매 노인에게 성년후견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 기간 : 연중
  • 대상 : 군내 거주하는 치매진단 노인(무연고 독거, 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자)
  • 내용 : 치매환자 대리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치매환자의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
  • 문의 : 치매안심센터(032-930-4097)

치매환자 조호물품 지원

  • 목적 : 치매환자의 상태에 따라 돌봄에 필요한 조호물품을 무상공급하여 치매환자 및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
  • 대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재가 치매환자
  • 품목 : 기저귀, 물티슈 등(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기간 : 신청일 기준 최대 1년까지 제공가능(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재신청 가능)
  • 신청 장소 : 치매안심센터, 북부인지건강센터(하점면), 남부인지건강센터(길상면)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032)930-4592

치매환자 돌봄로봇 효돌 지원

  • 목적 :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활동을 관리하여 규칙적인 하루일과를 지원함으로써 치매증상 악화를 방지하고, 인지 및 정서관리 지원
  • 대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재가 치매환자(독거, 부부치매 우선)
  • 기간 : 신청일로부터 1년
  • 내용 : 생활관리(약복용·식사·기상·취침시간 알림), 신체·정서활동 지원(말벗기능, 클래식·가요 재생, 체조 프로그램), 인지활동 지원(회상놀이, 상식퀴즈, 영어교실) 등
  • 신청 장소 : 치매안심센터
  • 문의 : 치매안심센터 ☎ 032)930-4592

경증치매환자 홈스쿨링

  • 대상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재가 치매환자
  • 기간 : 연중
  • 방법 : 인지건강센터 전문인력이 홈스쿨링 대상자 가정을 방문하여 인지중재프로그램 진행 격주/격월 1회 방문, 8회기 진행
  • 내용 : 건강체크/일상생활훈련, 인지교구(워크북), 필사노트, 만들기 수업 등
  • 문의 : 남부인지건강센터(길상면) ☎ 032)937-4082, 북부인지건강센터(하점면) ☎ 032)933-4577

정보관리

  • 담당부서 : 치매관리과
  • 담당팀 : 치매관리팀
  • 전화번호 : 032-930-4090

컨텐츠만족도 만족도 보기

치매관리 QR코드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OPEN 공공누리 | 출처표시+상업용금지+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한줄 의견달기 한줄 의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