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말라리아는 plasmodium속에 속하는 원충이 적혈구와 간세포 내에 존재함으로써 일어나는 질병으로 발열, 빈혈 및 비종대가 주요 증상임. 삼일열 말라리아의 잠복기는 평균 14일이나 일부는 2~3년간 간장 조직 내에서 수개월 내지 2~3년간 조직형으로 남아 재발의 원인이 되고 있음.
※ 발병 초기 매일 발열 및 발열 발작 후 이외 기간에는 정상 체온으로 유지
| 구분 | 일본뇌염 | 뎅기열 | 지카바이러스감염증 |
|---|---|---|---|
| 증상 |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임상증상 | 고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출혈 등 | 반점구진성 발진과 함께 관절통, 근육통, 비화농성 결막염 등 |
| 전파경로 | 동물과 사람을 흡혈하는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감염 ※ 주로 돼지가 증폭숙주 역할 |
숲모기류(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에 의해 전파 | 숲모기류에 의해 전파 성접촉, 수직감염, 수혈감염 가능 |
| 잠복기 | 5~15일 | 5~7일 | 3~14일 |
| 격리 | 불필요 | 환자 혈액 및 체액 격리 | 불필요 |
| 예방 | 예방접종 |
|
|
| 구분 | 쯔쯔가무시증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
|---|---|---|
| 호발시기 | 10~12월 | 4~11월 |
| 증상 |
심한두통, 발열, 갑작스런 오한 물린 부위에 가피 형성(특징적) |
38℃이상의 고열, 위장관계 증상(구토 등), 혈뇨, 혈변,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 등 |
| 전파경로 | 주로 경작지 주변의 풀숲 및 관목 숲에 분포 |
주로 SFTS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 사람 간의 혈액 및 체액 직·간접 노출에 따른 전파 가능성 존재 |
| 잠복기 | 10일 이내 | 5~14일(평균 9일) |
| 격리 | 불필요 | 불필요 |
| 예방 |
위험환경 노출 회피 (풀밭에 눕거나, 옷 벗어두지 않기 등) |
|
| 구분 | 신증후군출혈열 | 렙토스피라증 | 발진열 |
|---|---|---|---|
| 증상 | 발열, 출혈소견, 신부전 등 | 경증의 비황달형, 가벼운 감기증상 등 | 발열, 두통, 오한, 발한, 구토, 근육통, 발진 등 |
| 전파경로 |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에 배설물을 통해 건조되어 공기 중 전파 |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 토양, 음식물에 노출 시 상처난 부위를 통해 감염 | 감염된 쥐벼룩의 분변 속 균이 가려움증으로 피부를 긁을 때 생기는 미세 상처를 통해 전파 |
| 잠복기 | 1~2주(최대8주) | 2일~30일 | 7~14일 |
| 격리 | 불필요 | 환자 혈액과 체액 격리 | 불필요 |
| 예방 | 고위험군 예방접종 |
|
|

TEL : 032-930-4061-2
FAX : 032-930-3642
Copyright (C) manis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