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강화군 보건소강화군 보건소



컨텐츠

해충매개감염병 관리사업

  1. HOME
  2. 보건사업
  3. 감염병예방
  4. 해충매개감염병 관리사업

모기 매개 질환

말라리아

말라리아는 plasmodium속에 속하는 원충이 적혈구와 간세포 내에 존재함으로써 일어나는 질병으로 발열, 빈혈 및 비종대가 주요 증상임. 삼일열 말라리아의 잠복기는 평균 14일이나 일부는 2~3년간 간장 조직 내에서 수개월 내지 2~3년간 조직형으로 남아 재발의 원인이 되고 있음.

  • 전파경로 및 장소
    •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의 흡혈에 의하여 전파
    • 주로 소, 말, 돼지, 등 가축을 흡혈하나, 발생 밀도가 높아 사람을 무는 모기 개체수도 많아 짐
    • 수질이 어느 정도 깨끗하면 어디서나 서식 가능 (주로 논, 늪, 습지에서 대규모 발생)
  • 발생시기 : 이른 봄 ~ 늦가을
  • 증상
    • 3대 증상 : 발열(독특하고 규칙적인 발열), 빈혈, 비장종대 등
    • 오한기 : 춥고 덜덜 떨고 난 후 체온이 상승함
    • 고열기 : 체온이 39~41℃로 상승하며 피부가 건조함
    • 하열기 : 침구나 옷을 적실 정도로 심하게 땀을 흘린 후 열이 정상으로 떨어짐

    ※ 발병 초기 매일 발열 및 발열 발작 후 이외 기간에는 정상 체온으로 유지

  • 치료 : 클로로퀸 3일요법 후 재발을 예방하고 완치를 위해 프리마퀸을 14일간 복용 (재발 가능성이 높음)
  • 예방
    • 열증상자 보건지소·진료소, 병의원 내원하여 신속진단키트 검사 실시
    • 모기로부터 자신을 보호
    • 모기 활동 시간(늦은 밤)에는 외출 삼가
    • 외출 시 상의(긴소매)와 긴바지 착용
    • 외출 시 기피제를 휴대하여 2시간 마다 도포
    • 문이나 창문에 방충망을 설치하거나 모기장 사용
모기 매개 질환
구분 일본뇌염 뎅기열 지카바이러스감염증
증상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임상증상 고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출혈 등 반점구진성 발진과 함께 관절통, 근육통, 비화농성 결막염 등
전파경로 동물과 사람을 흡혈하는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감염
※ 주로 돼지가 증폭숙주 역할
숲모기류(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에 의해 전파 숲모기류에 의해 전파
성접촉, 수직감염, 수혈감염 가능
잠복기 5~15일 5~7일 3~14일
격리 불필요 환자 혈액 및 체액 격리 불필요
예방 예방접종
  • 모기에 물리지 않게 주의
  • 유행지에서 외출할 때는 기피제를 사용
  • 모기에 물리지 않게 주의

진드기 매개 질환

진드기 매개 질환
구분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호발시기 10~12월 4~11월
증상 심한두통, 발열, 갑작스런 오한
물린 부위에 가피 형성(특징적)
38℃이상의 고열, 위장관계 증상(구토 등), 혈뇨, 혈변,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 등
전파경로 주로 경작지 주변의 풀숲 및 관목 숲에 분포 주로 SFTS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
사람 간의 혈액 및 체액 직·간접 노출에 따른 전파 가능성 존재
잠복기 10일 이내 5~14일(평균 9일)
격리 불필요 불필요
예방 위험환경 노출 회피
(풀밭에 눕거나, 옷 벗어두지 않기 등)
  •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 환자 및 감염동물의 혈액 및 체액에 대한 노출 주의

설치류 매개 질환

설치류 매개 질환
구분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발진열
증상 발열, 출혈소견, 신부전 등 경증의 비황달형, 가벼운 감기증상 등 발열, 두통, 오한, 발한, 구토, 근육통, 발진 등
전파경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에 배설물을 통해 건조되어 공기 중 전파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 토양, 음식물에 노출 시 상처난 부위를 통해 감염 감염된 쥐벼룩의 분변 속 균이 가려움증으로 피부를 긁을 때 생기는 미세 상처를 통해 전파
잠복기 1~2주(최대8주) 2일~30일 7~14일
격리 불필요 환자 혈액과 체액 격리 불필요
예방 고위험군 예방접종
  • 노출 회피
  • 노출되었을 경우 빠른시간 내 진료
  • 환경 개선 (쥐의 서식을 막음)

예방

  • 야외 작업 시 무장화, 장갑, 긴소매 옷 등으로 피부보호
  • 풀밭에 눕거나 잔디에 침구나 옷을 두는 행위 자제
  • 야외활동 후 귀가 시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샤워하기
  • 집 주위의 들쥐 서식처인 잡초 제거
  • 산이나 풀밭에서는 가능한 피부의 노출 삼가
  • 야외활동 후 갑작스런 고열, 두통 등의 증세가 있을경우 신속히 가까운 병의원 또는 보건소에서 내원

정보관리

  • 담당부서 : 보건행정과
  • 담당팀 : 감염병관리팀
  • 전화번호 : 032-930-4008

컨텐츠만족도 만족도 보기

해충매개감염병 관리사업 QR코드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OPEN 공공누리 | 출처표시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한줄 의견달기 한줄 의견 보기